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번째 산 도서 저자 소개, 줄거리, 느낀 점

by 노 젓는 영이 2023. 4. 9.

 

도서 '두번째 산'를 읽고 저자 소개, 줄거리, 느낀 점으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인간의 품격> 저자 데이비드 브룩스가 집필한 책으로 저자는 인생이란 두 개의 산을 오르는 일과 같다고 말합니다. 첫 번째 산에서는 자아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올랐다면, 두 번째 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자기 욕구의 수준을 넘어 도덕적 기쁨, 상호 의존성, 관계성을 추구하며 사는 사람들이라고 말합니다. 아마존, 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저널의 베스트셀러인 '두번째 산'을 통해 첫 번째 산을 오르며 삶의 위기와 무의미를 느끼는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저자 데이비드 브룩스(David Brooks) 소개 

데이비드 브룩스는 뉴욕 타임즈 칼럼니스트로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분석과 풍자적인 문체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온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입니다. 1983년 시카고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한 뒤 월스트리트저널에서  9년 간 근무하며 유럽 특파원이면서 수석기자를 역임했으며 

1995년 8월 '위클리스탠더드' 창간팀에 합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1996년 '퇴보와 향상:신보수주의 문서'를 펴냈고, <뉴스위크>와 <애틀랜틱 먼슬리>의 객원편집위원이자 NPR의 뉴스분석All Things Considered'과 PBS의 '짐 레러의 뉴스아워The NewsHour with Jim Lehrer'에서 시사해설자로 출연하고 있습니다. 

예일대학교에서는 철학적 겸양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미국 예술과학아카데미 회원입니다. 저서로는 새로운 엘리트 계층의 출현을 알린 '보보스'와 내면의 결함을 딛고 위대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소개한 '인간의 품격', '소셜 애니멀' 등이 있습니다. 

 

도서 두번째 산 줄거리 

데이비드 브룩스의 도서 '두번째 산'은 현대 사회에서의 삶과 사랑, 성공과 실패, 의미와 목적을 탐구하는 인생 철학서이다. 

 

이 책은 삶의 목표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 성취가 아니라 내면의 삶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브룩스는 우리가 대부분의 시간을 일과 성공을 위해 쏟으면서 내면의 필요성을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외부적 성취만을 목적으로 오르는 산을 첫 번째 산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첫 번째 산의 정상에 올랐을 때 느낄 허무함 대신에 내면의 가치와 깊이 있는 관계를 구축하여 진정한 행복을 찾기 위해 두 번째 산을 올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부룩스는 사랑과 우정, 노동과 창조성, 윤리와 도덕성, 삶의 목적과 의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러한 주제들이 우리의 인간적인 삶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탐구한다. 

부륵스는 우리가 혼자서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기 어렵다고 이야기하며, 대신 다른 사람들과의 깊이 있는 관계와 

연결을 통해 삶을 보다 의미있게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책에서는 인생에서 칠패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떻게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극복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다룬다. 그는 인생의 고통과 역경을 겪을 때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자신의 인생을 성취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지를 안내한다. 

 

책을 읽고 느낀 점 

인생에 대한 가치관이 무엇이냐 말한다면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내가 가진 능력으로 타인을 돕고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생각을 자세하게 표현하지 못 했을 때 이 책을 만나면서 '두번째 산'은 분명히 존재하고 궁극적으로 우리가 올라야 할 산의 모습을 이야기해 큰 위로를 얻을 수 있었다. 

 

부룩스의 '두번째 산'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데 있어서 가장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가 인간적인 존재로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살피고 탐구하게 만든다. 

 

유투브를 보던 중 지나영 심리학 교수가 했던 이야기가 떠올랐다. 

가장 강력한 내적 동기는 '기여'에서 오며, 리더가 되는 사람들은 '기여'의 의미를 알고,그 힘을 믿는다고 말한다. 

또한 메슬로우의 욕구 5단계의 끝에는 자아실현의 욕구가 있는데 매슬로우가 죽기 직전에 자아실현 욕구의 다음 단계를 

이야기 했다고 한다. 

그것은 바로 '자아초월'의 욕구 

 

자아초월욕구는 자신을 초월하여 다른 것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이타적 욕구를 말한다. 

개인이 자신을 위한 물질적 충족, 성과, 인정 등이 어느 일정 수준까지는 욕구 충족에 도달하지만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진 것을 나누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이 되었을 때, 나로 인해 세상이 

좀 더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을 때 채워지는 욕구이며, 이러한 욕구는 개인의 외적 성취에 대한 만족과 비할 수 없다.

 

'뿌듯함'이나 '보람', '만족'이란 감정은 돌이켜 볼 수록 타인을 도울 수 있었을 때 오래 남아 있고, 오래 기억된다. 

사고 싶었던 물건이 담긴 택배를 기다리는 순간이 가장 기뻤지, 막상 물건을 받은 후 그것에 대한 기쁨은 그리 오래가지 

못 한다.

단편적으로 읽혀진 감정을 따라가만 봐도 인생에서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야 하는지 조금은 느낄 수 있다. 

 

내가 믿는 것에 조금 더 힘을 실어준 '두번째 산'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